짐 테이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짐 테이텀은 미국의 야구 선수로, 1985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 지명되어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밀워키 브루어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으며, 콜로라도 로키스, 보스턴 레드삭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뉴욕 메츠 등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또한, 1997년에는 일본 프로 야구의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2000년에는 KBO 리그의 LG 트윈스에서 활약했다. 마이너 리그 통산 1,481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89, 172홈런, 882타점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쿠르트 스왈로스 선수 - 도마시노 겐지
도마시노 겐지는 1988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하여 1989년 신인왕을 수상하고 빠른 발과 수비력을 갖춘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현재 야구 해설가이다. - 야쿠르트 스왈로스 선수 - 이가라시 료타
이가라시 료타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야쿠르트 스왈로스와 해외 리그에서 활약하며 핵심 불펜 투수로 명성을 얻었고, 현재는 야구 해설가로 활동 중이다. - 콜로라도 로키스 선수 - 호세 카페얀
호세 카페얀은 미국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활동했으며,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하다가 2015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콜로라도 로키스 선수 - 김병현
김병현은 1999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하여 2001년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현재는 방송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 밀워키 브루어스 선수 - 호세 카페얀
호세 카페얀은 미국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활동했으며,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하다가 2015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밀워키 브루어스 선수 - 펠리페 로페스
펠리페 로페스는 1998년 드래프트에서 토론토 블루제이스에 지명되어 데뷔 후 여러 메이저 리그 팀에서 활동하며 2005년 실버슬러거상과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11시즌 동안 메이저리그와 대만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짐 테이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짐 테이텀 |
원어 이름 | Jim Tatum |
출생일 | 1967년 10월 9일 |
출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
포지션 | 유틸리티 선수 |
타격 | 우타 |
투구 | 우투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 산타나 고등학교 |
메이저 리그 | 밀워키 브루어스 (1992년) 콜로라도 로키스 (1993년, 1995년) 보스턴 레드삭스 (1996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996년) 뉴욕 메츠 (1998년) |
일본 프로 야구 | 야쿠르트 스왈로스 (1997년) |
한국 프로 야구 | LG 트윈스 (2000년) |
멕시코 프로 야구 | 멕시코시티 레드데빌스 (2000년) |
드래프트 | 1985년 MLB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76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지명 |
메이저 리그 기록 | |
데뷔 | 1992년 9월 18일, 밀워키 브루어스 |
마지막 경기 | 1998년 6월 11일, 뉴욕 메츠 |
타율 | 0.194 |
홈런 | 3 |
타점 | 29 |
일본 프로 야구 기록 | |
데뷔 | 1997년 7월 4일, 야쿠르트 스왈로스 |
마지막 경기 | 1997년 10월 23일, 야쿠르트 스왈로스 |
타율 | 0.309 |
홈런 | 13 |
타점 | 25 |
한국 프로 야구 기록 | |
데뷔 | 2000년 4월 5일, 사직 롯데전 |
마지막 경기 | 2000년 4월 26일, 수원 현대전 |
타율 | 0.292 |
홈런 | 4 |
타점 | 10 |
2. 선수 경력
짐 테이텀은 MLB 드래프트 3라운드(전체 76위)에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 지명되어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일본 프로 야구(NPB), KBO 리그 등 여러 리그를 거치며 선수 생활을 했다.
메이저 리그에서는 밀워키 브루어스, 콜로라도 로키스, 보스턴 레드삭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뉴욕 메츠에서 뛰었다. 특히 1993년 콜로라도 로키스 소속으로 92경기에 출전했는데, 이는 그의 메이저 리그 경력 중 가장 많은 출전 기록이다.
일본 프로 야구에서는 1997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활약하며 리그 우승에 기여했고, 일본 시리즈 1차전에서 결승 홈런을 기록하기도 했다.
2000년에는 KBO 리그의 LG 트윈스에서 20경기를 뛰었다. 마이너 리그에서는 총 1,481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89, 172홈런, 882타점을 기록했다.[1]
2. 1. 메이저 리그 (MLB) 경력
짐 테이텀은 1985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3라운드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 지명되었다.[1] 1988년 파드리스 조직에서 방출되었고, 1989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조직과 계약했다.[2] 인디언스에서 방출된 후, 1990년 밀워키 브루어스와 계약을 맺고, 1992년 브루어스 소속으로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5경기에 출전했다.[2]1992년 11월, 1992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확장 드래프트에서 콜로라도 로키스에 지명되었다. 1993년 로키스 소속으로 9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04, 홈런 1개, 12 타점을 기록했으며, 주로 대타로 출전했다. 이는 그가 메이저 리그에서 출전한 경기의 절반 이상에 해당한다.[2] 같은 해 5월 4일 시카고 컵스와의 경기에서 댄 프리사크를 상대로 로키스 구단 창단 첫 만루 홈런을 쳤다. 1995년 11월 1일까지 로키스 조직에 남아 있다가, 자유 계약 선수 자격으로 보스턴 레드삭스와 계약을 맺었다.[2] 1996년 보스턴 소속으로 단 두 경기에 출전한 후 현금 트레이드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이적했다.[2] 테이텀은 1996년 시즌 파드리스 소속으로 5경기에 출전했으며, 시즌 종료 후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2]
1998년에는 뉴욕 메츠에서 35경기에 출전했다.[2] 같은 해 4경기에 포수로 출전하여 전년에 야쿠르트에서 팀 동료였던 요시이 마사토 투수와 배터리를 이루기도 했다.
2. 2. 일본 프로 야구 (NPB) 경력
1997년, 테이텀은 일본 프로 야구(NPB)의 야쿠르트 스왈로스와 계약을 맺고 51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309, 13홈런, 25타점을 기록했다.[1] 고바야카와 다케히코와 1루수 포지션 경쟁을 하면서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같은 해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일본 시리즈 1차전(세이부 구장)에서 8회 초 세이부 선발 니시구치 후미야를 상대로 선제 솔로 홈런을 쳐 결승타가 되어 1-0으로 첫 경기를 승리했고, 야쿠르트는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일정한 활약을 보였지만, 시즌 종료 후 라일 무턴의 영입이 결정되면서 그해를 마지막으로 자유 계약이 되어 귀국했다. 이 시즌은 규정 타석을 채우지 못했음에도 OPS 1.030을 기록했지만, 당시에는 OPS의 개념이 야구계에조차 거의 침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점에서는 전혀 평가받지 못했다.2. 3. 한국 프로 야구 (KBO) 경력
2000년 KBO 리그의 LG 트윈스에 합류하여 20경기에 출전했으며, 트윈스에서 타율 0.292, 4홈런, 12타점을 기록했다.[1]2. 4. 마이너 리그 경력
짐 테이텀은 1985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3라운드(전체 76위)에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 지명되어 프로에 입단했다.[1] 1988년 파드리스 조직에서 방출되었고, 1989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조직과 계약했다.[2] 인디언스에서 방출된 후, 1990년 밀워키 브루어스와 계약을 맺었다.[2]1992년 11월, 1992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확장 드래프트에서 콜로라도 로키스에 지명되었다.[2] 1995년 11월 1일까지 로키스 조직에 남아 있다가, 자유 계약 선수 자격으로 보스턴 레드삭스와 계약을 맺었다.[2] 1996년 보스턴 소속으로 단 두 경기에 출전한 후 현금 트레이드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이적했다.[2] 그해 시즌 종료 후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2]
1997년 6월, 일본 프로 야구 야쿠르트 스왈로스와 계약을 맺고[1] 파드리스 산하 AAA급 라스베가스 스타즈를 거쳐 일본으로 건너갔다. 고바야카와 다케히코와 1루수 포지션 경쟁을 했다. 같은 해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일본 시리즈 1차전(세이부 구장)에서 8회 초 세이부 선발 니시구치 후미야를 상대로 선제 솔로 홈런을 쳐 결승타가 되었고, 1-0으로 첫 경기를 승리한 야쿠르트는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시즌 종료 후 라일 무턴의 영입이 결정되면서 자유 계약되어 귀국했다.
1999년 시즌은 로키스 조직에서 보냈고, 2000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서 마이너 리그 선수로 활동하다가 KBO 리그 LG 트윈스에 합류하였다. 2000년에는 LG 트윈스와 멕시칸 리그 멕시코 시티 레드데블스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현역에서 은퇴했다.
테이텀은 마이너 리그에서 총 1,481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89, 172홈런, 882타점을 기록했다.[1]
3. 주요 기록
- 첫 출장·첫 선발 출장: 1997년 7월 4일, 대 주니치 드래곤스 13회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6번·2루수로 선발 출장
- 첫 안타·첫 홈런·첫 타점: 1997년 7월 6일, 대 주니치 드래곤스 15회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2회 말에 몬쿠라 켄으로부터 솔로 홈런
4.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구단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92 | 밀워키 | 5 | 9 | 8 | 0 | 1 | 0 | 0 | 0 | 1 | 0 | 0 | 0 | 0 | 0 | 1 | 0 | 0 | 2 | 0 | .125 | .222 | .125 | .347 |
1993 | 콜로라도 | 92 | 106 | 98 | 7 | 20 | 5 | 0 | 1 | 28 | 12 | 0 | 0 | 0 | 2 | 5 | 0 | 1 | 27 | 0 | .204 | .245 | .286 | .531 |
1995 | 콜로라도 | 34 | 35 | 34 | 4 | 8 | 1 | 1 | 0 | 11 | 4 | 0 | 0 | 0 | 0 | 1 | 0 | 0 | 7 | 1 | .235 | .257 | .324 | .581 |
1996 | 보스턴 | 2 | 8 | 8 | 1 | 1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2 | 0 | .125 | .125 | .125 | .250 |
샌디에이고 | 5 | 3 | 3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00 | .000 | .000 | .000 | |
1996 | 합계 | 7 | 11 | 11 | 1 | 1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 | .091 | .091 | .091 | .182 |
1997 | 야쿠르트 | 51 | 159 | 139 | 27 | 43 | 7 | 0 | 13 | 89 | 25 | 4 | 1 | 0 | 1 | 16 | 3 | 3 | 28 | 2 | .309 | .390 | .640 | 1.030 |
1998 | 뉴욕 | 35 | 57 | 50 | 4 | 9 | 1 | 2 | 2 | 20 | 13 | 0 | 0 | 0 | 4 | 3 | 0 | 0 | 19 | 0 | .180 | .211 | .400 | .611 |
2000 | LG | 20 | 84 | 72 | 12 | 21 | 4 | 1 | 4 | 39 | 10 | 0 | 0 | 0 | 0 | 10 | 1 | 2 | 12 | 2 | .292 | .393 | .542 | .935 |
MLB:5년 | 173 | 218 | 201 | 16 | 39 | 7 | 3 | 3 | 61 | 29 | 0 | 0 | 0 | 6 | 10 | 0 | 1 | 58 | 1 | .194 | .229 | .303 | .533 | |
NPB:1년 | 51 | 159 | 139 | 27 | 43 | 7 | 0 | 13 | 89 | 25 | 4 | 1 | 0 | 1 | 16 | 3 | 3 | 28 | 2 | .309 | .390 | .640 | 1.030 | |
KBO:1년 | 20 | 84 | 72 | 12 | 21 | 4 | 1 | 4 | 39 | 10 | 0 | 0 | 0 | 0 | 10 | 1 | 2 | 12 | 2 | .292 | .393 | .542 | .935 |
5. 등번호
연도 | 등번호 |
---|---|
1992년 | 39 |
1993년 | 20 |
1995년, 1998년 | 19 |
1996년 (중도) | 48 |
1996년 (종료) | 2 |
1997년 | 49 |
2000년 | 23 |
참조
[1]
웹사이트
Jim Tatum Register Statistics and History
https://www.baseball[...]
2016-12-12
[2]
웹사이트
Jim Tatum Statistics and History
https://www.baseball[...]
2016-12-12
[3]
뉴스
"[기획] LG의 암흑기와 외국인 타자의 잔혹사! 그리고, 신이 된 사나이 페타신!"
https://www.inven.co[...]
인벤
2014-04-30
[4]
뉴스
"[프로야구]외국인선수 희비 쌍곡선"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00-03-21
[5]
뉴스
"[기획] LG의 암흑기와 외국인 타자의 잔혹사! 그리고, 신이 된 사나이 페타신!"
https://www.inven.co[...]
인벤
2014-04-30
[6]
뉴스
"[프로야구]양준혁, 연타석 홈런으로 회복세"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00-05-16
[7]
뉴스
스미스 LG행... 내달초부터 지명타자로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00-07-28
[8]
뉴스
스미스 LG행... 내달초부터 지명타자로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00-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